애플파이썬

[프로그래머스] Lv.1 콜라 문제(파이썬) 본문

파이썬/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 Lv.1 콜라 문제(파이썬)

유진파이 2024. 12. 23. 13:42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2267

 

프로그래머스

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오래전 유행했던 콜라 문제가 있습니다. 콜라 문제의 지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답은 아무에게도 말하지 마세요.

콜라 빈 병 2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1병을 주는 마트가 있다. 빈 병 20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가?

단, 보유 중인 빈 병이 2개 미만이면, 콜라를 받을 수 없다.

문제를 풀던 상빈이는 콜라 문제의 완벽한 해답을 찾았습니다. 상빈이가 푼 방법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우선 콜라 빈 병 20병을 가져가서 10병을 받습니다. 받은 10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5병을 받습니다. 5병 중 4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2병을 받고, 또 2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서 1병을 받습니다. 받은 1병과 5병을 받았을 때 남은 1병을 모두 마신 뒤 가져가면 1병을 또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상빈이는 총 10 + 5 + 2 + 1 + 1 = 19병의 콜라를 받을 수 있습니다.

문제를 열심히 풀던 상빈이는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생각했습니다. 이 문제는 빈 병 a개를 가져다주면 콜라 b병을 주는 마트가 있을 때, 빈 병 n개를 가져다주면 몇 병을 받을 수 있는지 계산하는 문제입니다. 기존 콜라 문제와 마찬가지로, 보유 중인 빈 병이 a개 미만이면, 추가적으로 빈 병을 받을 순 없습니다. 상빈이는 열심히 고심했지만, 일반화된 콜라 문제의 답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상빈이를 도와, 일반화된 콜라 문제를 해결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주세요.

콜라를 받기 위해 마트에 주어야 하는 병 수 a, 빈 병 a개를 가져다 주면 마트가 주는 콜라 병 수 b, 상빈이가 가지고 있는 빈 병의 개수 n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상빈이가 받을 수 있는 콜라의 병 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1 ≤ b < a  n ≤ 1,000,000
  • 정답은 항상 int 범위를 넘지 않게 주어집니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a, b, n):
    answer, temp = 0, 0
    while n>=a:
        if n%a == 0:
            answer += (n//a)*b
            n = n//a
        elif n%a != 0:
            answer += (n//a)*b
            temp += n%a
            n = n//a
    return answer + ((temp+n)//a)*b

 

흠,,, 푼 지 좀 돼서 기억이 안난다.

 

while n>=a:
        if n%a == 0:
            answer += (n//a)*b
            n = n//a

 

일단 while 문 안에 있는 첫번째 if문은 빈 병이 딱 생길 때를 계산하려고 한 것 같다.

그래서 처음에 있는 빈병을 a개로 나눴을 때 나오는 몫을 받는 거에 우선 answer에 더해주고 n 업데이트.

 

        elif n%a != 0:
            answer += (n//a)*b
            temp += n%a
            n = n//a

 

elif문은 빈 병이 생기고 또 남는 거랑 새로 생긴 빈 병을 temp 변수에 일단 더해준다는 뭐 요론 뜻,,?!

 

그래서 마지막 출력을 answer랑 temp를 활용해서 한 것 같은데,,,

 

길잃은 나의 코드,, 흑흑슨

그래서 gpt와 다른사람의 풀이를 봤어요!

 

다른 사람의 풀이

def solution(a, b, n):
    answer = 0
    
    while n >= a:
        # 교환 가능한 병 수
        new_bottles = (n // a) * b
        answer += new_bottles
        
        # 남은 병 수 계산
        n = (n % a) + new_bottles
    
    return answer

일단 ! 새로 생긴 병 수를 구해주고 바로 answer에 더해주기

 

남은 병수는 교환하고 남은 병수 + 새로 생긴 병 수로 n을 업데이트!

 

사실 간단한 문제인데 이런 로직...?을 생각해내는 게 중요했던 거 같다.

새로 생긴 병은 어떻게 처리할 것이며, 만약 남는 병이 생겼을 때는 어떤 절차로 처리할 것인지!

(그리고 이런 블로그는 그때그때 써야 될 것 같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