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파이썬

[프로그래머스] Lv.1 달리기 경주 (파이썬) 본문

파이썬/프로그래머스

[프로그래머스] Lv.1 달리기 경주 (파이썬)

유진파이 2025. 1. 16. 10:35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78871

 

프로그래머스

SW개발자를 위한 평가, 교육, 채용까지 Total Solution을 제공하는 개발자 성장을 위한 베이스캠프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얀에서는 매년 달리기 경주가 열립니다. 해설진들은 선수들이 자기 바로 앞의 선수를 추월할 때 추월한 선수의 이름을 부릅니다. 예를 들어 1등부터 3등까지 "mumu", "soe", "poe" 선수들이 순서대로 달리고 있을 때, 해설진이 "soe"선수를 불렀다면 2등인 "soe" 선수가 1등인 "mumu" 선수를 추월했다는 것입니다. 즉 "soe" 선수가 1등, "mumu" 선수가 2등으로 바뀝니다.

선수들의 이름이 1등부터 현재 등수 순서대로 담긴 문자열 배열 players와 해설진이 부른 이름을 담은 문자열 배열 calling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경주가 끝났을 때 선수들의 이름을 1등부터 등수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5 ≤ players의 길이 ≤ 50,000
    • players[i]는 i번째 선수의 이름을 의미합니다.
    • players의 원소들은 알파벳 소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players에는 중복된 값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 3 ≤ players[i]의 길이 ≤ 10
  • 2 ≤ callings의 길이 ≤ 1,000,000
    • callings는 players의 원소들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경주 진행중 1등인 선수의 이름은 불리지 않습니다.

나의 풀이

def solution(players, callings):
    for i in range(len(callings)):
        win_name = callings[i]
        win_idx = players.index(win_name)
        loose_idx = players.index(win_name)-1
        loose_name = players[loose_idx]
        players[win_idx] = loose_name
        players[loose_idx] = win_name
    return players

 

😫 로직은 맞았지만 시간초과가 떴다,,, ㅠㅠ 어떻게 하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까...?

 

 

GPT의 도움 (아무리 고민해도 안 될 것 같아..)

def solution(players, callings):
    player_index = {player: i for i, player in enumerate(players)}

    for name in callings:
        win_idx = player_index[name]
        loose_idx = win_idx-1

        players[win_idx], players[loose_idx] = players[loose_idx], players[win_idx]

        player_index[players[win_idx]] = win_idx
        player_index[players[loose_idx]] = loose_idx
    return players

 

주어진 코드는 players 리스트를 매번 순회하여 callings 배열의 각 이름에 대한 인덱스를 찾고, 해당 인덱스를 기준으로 값을 스왑(swap)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이 방식은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이유는 players.index()가 리스트를 순차적으로 탐색하기 때문에 O(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 이는 매 호출마다 반복되므로 전체 시간 복잡도는 O(N * M)입니다 (N은 players의 길이, M은 callings의 길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해시맵 사용으로 인덱스 조회 최적화
    players의 현재 등수를 빠르게 찾기 위해 선수 이름과 인덱스를 매핑하는 해시맵(dictionary)을 생성합니다. 해시맵을 사용하면 index() 호출을 O(1)로 줄일 수 있습니다.
  2. 스왑 작업 최적화
    해시맵을 업데이트하고, players 리스트를 수정하여 스왑 작업을 수행하면 성능을 크게 개선할 수 있습니다.

이렇다네요 !

 

1. 우선 선수들의 정보가 딕셔너리 형태로 (이름: 순위) 저장되게끔 player_index 생성

2. for 문을 돌리면서 추월한 사람 인덱스를 win_idx, 밀려난 사람 인덱스를 loose_idx로 저장

3. players 리스트 이름을 바꿔치기 해줘서 변경된 순위 반영

4. player_index 바뀐 정보로 다시 업데이트 !

 


해시맵이 뭘까요?!

해시맵(HashMap)은 키(key)와 값(value)을 쌍으로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입니다. 어떤 데이터를 빠르게 검색하거나 저장할 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 는 데이터를 찾기 위한 이름이나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
  • 은 키에 연결된 실제 데이터입니다.

해시맵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검색할 때 해시 함수라는 것을 이용해 키를 특정한 숫자로 변환하고, 이 숫자를 기반으로 데이터가 저장될 위치를 바로 찾아갑니다. 이 덕분에 데이터를 검색할 때 거의 한 번에 찾을 수 있는(O(1)) 높은 효율성을 가집니다.

 

파이썬에서 해시맵을 구현하는 방법이 바로 딕셔너리 !